전체 글 69

Frank Ruda, "놓아줌Entlassen. 헤겔, 희생, 해방에 관하여"

"Entlassen. Remarks on Hegel, Sacrifice and Liberation",  in Crisis & Critique, Jun., 2014 , pp.111-129.   예비작업 : 운명론에서 희생으로 [111]  이하 언급되는 내용은 내가 다른 곳에서 발전시킨 것, 즉 오늘날 숙명론을 옹호할 필요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옹호의 동기는 자유에 관한 문제적 이해理解를 분석하면서 획득되었고, 이러한 분석은 특히 데카르트, 칸트, 헤겔에 의해 정식화되었다. 이 저자들이 비판하는 자유에 대한 문제적 이해의 결정적인 특징은 자유를 능력capacity으로 믿는다는 것에서 구체화된다. 데카르트 및 다른 이들은 그러한 이해의 현상적 효과를 무관(심)한 상태state of indifferen..

논문 번역 2024.09.09

헤겔의 '에덴에서 추방' 해석(Interlude): 우리는 사랑할 수 있을까 ― 황지우 <뼈아픈 후회>

잠시 사랑으로 눈을 돌려보자. 뼈아픈 후회 슬프다 내가 사랑했던 자리마다 모두 폐허다 완전히 망가지면서 / 완전히 망가뜨려놓고 가는 것; 그 징표 없이는 / 진실로 사랑했다 말할 수 없는 건지 / 나에게 왔던 사람들, / 어딘가 몇 군데는 부서진 채 /모두 떠났다 내 가슴속엔 언제나 부우옇게 이동하는 사막 신전; / 바람의 기둥이 세운 내실에까지 모래가 몰려와 있고 / ... / 말라가는 죽은 짐승 귀에 모래 서걱거린다 / 어떤 연애로도 어떤 광기로도 / 이 무시무시한 곳에까지 함께 들어오지는 / 못했다, 내 꿈틀거리는 사막이. / 끝내 자아를 버리지 못하는 그 고열의 / 신상(神像)이 벌겋게 달아올라 신음했으므로 / 내 사랑의 자리는 모두 폐허가 되어 있다 아무도 사랑해본 적이 없다는 거; / 언제 다..

헤겔의 '에덴에서 추방' 해석 (2) : 앎의 딜레마

“상처를 입힌 창槍이 상처를 봉합한다.” - 오페라   中  ‘에덴에서 추방’에 관한 이상의 설명은 구약에서든 헤겔 입장에서든 아직 반쪽짜리이다. 왜냐하면 우선 헤겔은 이 상처와 분열을 극복―‘헤겔어語’로 하자면 “지양aufheben”―하고 세계와 “하나 됨을 복원”한다고 선언하기 때문이다. 인간은 에덴에서 머물 때 신의 뜻(곧 그리스의 윤리/인륜에서 습속이었던 것)이 투명하게 세계의 의미를 전해주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스스로의 사고를 통해 다시 세계를 이해하게 될 것이며 “세계와 다시 하나 될 것이다.” 게다가 이 복원은 자의적으로 헤겔이 사고에 부과하는 목표도 아니다. 왜냐하면 사고가 원했던 것은 스스로의 힘으로 ‘세계를 아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고로 인한 “분열[상태]가 인간에 관한 모든 ..

헤겔의 '에덴에서 추방' 해석 (1) : 앎의 자기 학대

[  이 글은 2024년 9월 6일 부분 수정되었으며 "앎은 상처다" 이하 부분이 추가 되었습니다. ]  “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 열매를 먹지 말라. 네가 먹는 날에는 정녕 죽으리라. ” (창 2:17)   에덴동산 생명의 나무 옆 금지된 열매를 맺는 나무. 한국에서 흔히 ‘선악과 나무’로 부르지만 서양에서는 이를 주로 ‘앎의 나무’(Der Baum der Erkenntnis; tree of the knowledge)로 부른다. 사실 “정녕” 죽을 것이라는 확언에도 불구하고 신은 인간을 동산에서 추방하는 것으로 죽음의 형벌을 대신한다. 그런데 선악을 알게 되는 인간, 우리 말 표현으로 하자면 ‘사리 분별을 할 수’ 있게 되었음이 왜 죽음에 비견되는 추방령의 죄가 될까?   이에 대한 기독교 내 해석이 ..

헤겔, <철학백과> 1부 논리학 中 "예비적 파악" § 24. 추가 3.

일러두기 : 이하 번역된  24절의 추가 3의 두 번째 단락 헤겔은 철학이 맞닥뜨린 고유한 사태에 대한 종교적 표현이 '에덴에서의 추방'으로 표상됨을 설명하고 있다. 이는 창세기 3장에 나오는 아담과 이브가 선악과를 먹고 추방당하는 장면이 상징하는 바에  대한 헤겔의 런닝 코멘터리라는 점에서도 흥미로운 글이지만, 여기서 나타나는 유대-기독교의 원죄 관념을 활용하여 인간 사유의 출발과  해결과제를 설명한다는 점에서도 매우 흥미를 끈다. 헤겔은 선악과를 먹음으로써 에덴동산에서 쫓겨난 것이 인간 정신 및 사고가 자연과의 통일 상태에서 벗어난 것을 상징하고 있다고 본다. 그렇게 되면 인간이 스스로 사고한다는 것이 원죄가 되며, 심지어 사고능력이 인간에게 필연적인 만큼 원죄 역시 필연적이라고 본다. 이에 따라 ..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과 좋은 삶

1. 행복이라는 말은 그 의미를 모르는 사람이 거의 없을 정도로 일상적이다. 한여름 심한 갈증을 겪을 때 마시는 시원한 물 한 잔은 우리에게 행복을 가져다주며, 하루 일과를 끝내고 가족과 평화로운 저녁시간을 함께 보낼 때 우리는 행복을 느낀다. 그리고 자기가 원하는 것을 이뤄냈을 때, 예컨대 열심히 준비해서 원하는 학교나 직장에 들어가게 됐을 때도 우리는 행복감을 맛본다. 이러한 경우들을 일반화해보면, 행복이란 내 안의 어떤 심리상태, 그것도 나쁜 것이 아니라 긍정적인 감정이나 느낌인 것처럼 보인다. 특히 그것은 내가 뭔가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혹은 그 추구의 결과로 뭔가를 성취했을 때 내면에서 느낄 수 있는 기쁨이나 만족감과 관련되는 듯하다. 그래서 우리는 행복과 연관되는 이러한 긍정적 감정, 즉 감각적..

내릴 수 없는 기차 3: 맑스와 상품물신 (2)

3. 교환의 양적 비율이 갖는 규범적 힘이 실제 교환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좀더 자세히 살펴보자. 애초에 교환에 참여할 때 행위자의 관심은 상품의 사용가치에 있다. 사용가치에 관심을 갖고 있지 않다면 애초에 그는 교환에 참여하지도 않을 것이다. 하지만 교환과정에서 이 관심은 사라진다. 상품은 교환가치로 환원되어 행위자들의 관심은 교환가치로 이동한다(하인리히, , 73 참조). 즉 그들은 이제 “자신의 생산물로 자신들이 타인의 생산물을 얼마만큼 얻을 수 있는가, 그래서 생산물들이 어떤 비율로 교환되는가”(MEW23, 89, 김수행 역, 1-상, 94, 번역 일부 수정)에 우선적으로 관심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 과정은 우리 사고가 개념을 형성하는 과정과 유사하다. 후자의 과정을 이해하기 위..

내릴 수 없는 기차 2: 맑스와 상품물신 (1)

2. “이대로 가다가는 다 죽는다는 걸 알아도 대부분의 사람들로 하여금 [기차에서ㅡ인용자] 내릴 수 없게 만드는 위력”이 자본주의에 내장되어 있음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고 또 이를 해명하는 데 심혈을 기울였던 이가 을 쓴 맑스였다.  자본주의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자본주의적 인간형이 재생산되어야 한다. 이는 베버만이 아니라 맑스도 잘 알고 있던 사실이다. 하지만 베버와 달리 맑스는 자본주의에 대한 그 어떤 환상도 가지고 있지 않았다. 베버와 달리 그는 자본주의가 유지되는 데 근면이나 성실과 같은 어떤 개신교적 가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맑스에 따르면 자본주의는 그 어떤 긍정적 가치도 동원하지 않고 노골적으로 자신을 재생산한다. 하지만 사람들은 자신의 믿음을 통해 의식적으로 자본주의적 사회관계를 ..

내릴 수 없는 기차 1

1. 백낙청은 탈성장론을 비판적으로 점검하는 맥락에서, 오늘날 사람들이 “자본주의 나쁜 건 알지만 자본주의 무서운 건 덜 실감하는” 편이라는 발언을 한 적이 있다(백낙청, , 351면). 그의 이러한 발언은,  기후위기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체제전환’이 요구되며 체제전환을 위해서는 ‘경제적 성장주의’ 담론의 극복이 긴요한 과제임을 주장하는 탈성장주의적 운동을 반대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체제전환을 꿈꾸는 사람들이 탈성장의 세계를 실현하기 위해서 시기와 지역에 따라 얼마만큼의 성장을 어떻게 하는 것이 가장 적당한지를 연마”하지 않는다면 “대중의 먹고사는 문제를 도외시한 당위론”, 즉 현실과 분리된 “탁상공론”에 그칠 것이며, 이렇게 되면 “대중은 탈성장론을 일부 ‘잘난 사람들의 거룩한 말씀’ 정도로 들을..

과도하거나 과분한 제목에 부쳐

편지는 도착할 것인가? 언제 도착할 것인가?편지는 항상 수신과 발신 사이의 공간적이고 시간적 틈을 담고 있다. 게다가 지금 이 편지는 말 그대로 '먼 곳에서 먼곳으로'  향한다. 이역만리 타국에서 모국어로 쓰이고 있는 것이다. 이 두 가지의 조합은 어떤 불안과 부조화를 담고 있다. 외부자로서 타향 살이의 신파가 담길 수도, 모국에 거리를 둠으로써 생겨나는 신선함이 담길 수도 있는 것이다(하나 그 어느 쪽도 앞으로 내가 쓸 글들의 본디 직접적 의도는 아닐 것이다. 글의 배경에 나도 몰래 자리잡은 정서라면 몰라도). 여하간, 지구상 대부분의 장소에서 동시성 속에 살아갈 수 있게 된 지금의 상황에서도 이 불안 덕에 나는  '과도하거나 과분하게'  좀더 과거의 편지쓰기를 흉내 낼 수 있게 되었다.   편지는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