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08 2

헤겔의 '에덴에서 추방' 해석(Interlude): 우리는 사랑할 수 있을까 ― 황지우 <뼈아픈 후회>

잠시 사랑으로 눈을 돌려보자. 뼈아픈 후회 슬프다 내가 사랑했던 자리마다 모두 폐허다 완전히 망가지면서 / 완전히 망가뜨려놓고 가는 것; 그 징표 없이는 / 진실로 사랑했다 말할 수 없는 건지 / 나에게 왔던 사람들, / 어딘가 몇 군데는 부서진 채 /모두 떠났다 내 가슴속엔 언제나 부우옇게 이동하는 사막 신전; / 바람의 기둥이 세운 내실에까지 모래가 몰려와 있고 / ... / 말라가는 죽은 짐승 귀에 모래 서걱거린다 / 어떤 연애로도 어떤 광기로도 / 이 무시무시한 곳에까지 함께 들어오지는 / 못했다, 내 꿈틀거리는 사막이. / 끝내 자아를 버리지 못하는 그 고열의 / 신상(神像)이 벌겋게 달아올라 신음했으므로 / 내 사랑의 자리는 모두 폐허가 되어 있다 아무도 사랑해본 적이 없다는 거; / 언제 다..

헤겔의 '에덴에서 추방' 해석 (2) : 앎의 딜레마

“상처를 입힌 창槍이 상처를 봉합한다.” - 오페라   中  ‘에덴에서 추방’에 관한 이상의 설명은 구약에서든 헤겔 입장에서든 아직 반쪽짜리이다. 왜냐하면 우선 헤겔은 이 상처와 분열을 극복―‘헤겔어語’로 하자면 “지양aufheben”―하고 세계와 “하나 됨을 복원”한다고 선언하기 때문이다. 인간은 에덴에서 머물 때 신의 뜻(곧 그리스의 윤리/인륜에서 습속이었던 것)이 투명하게 세계의 의미를 전해주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스스로의 사고를 통해 다시 세계를 이해하게 될 것이며 “세계와 다시 하나 될 것이다.” 게다가 이 복원은 자의적으로 헤겔이 사고에 부과하는 목표도 아니다. 왜냐하면 사고가 원했던 것은 스스로의 힘으로 ‘세계를 아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고로 인한 “분열[상태]가 인간에 관한 모든 ..